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4-07-03 19:00:01
기사수정

[굿타임] = 이강부 기자 = 충남도 농업기술원은 온난화 등 기후변화에 대응해 벼 생태형에 따라 계획적인 영농이 가능토록 재배기간 설정 연구에 돌입한다.

 

기상청에 따르면 도내 5월 평년(2014∼2023년) 평균기온은 과거 10년(2004∼2013년) 대비 0.4℃ 높아졌으며 특히 5월 중순(11∼20일) 평균기온은 1.4℃ 정도 높아졌다.

 

이에 벼 재배 농가는 벼농사 준비 시기를 점점 앞당기고 있는데 이런 이른 이앙은 고온으로 인한 붙임 현상의 발생과 등숙기에 쌀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크다.

 

도 농업기술원이 2022∼2023년 삼광 벼를 적정 이앙 시기보다 이른 5월15일경 이앙해본 결과 출수기는 8월10일 이전으로 빨라졌고 출수 후 40일간 평균기온인 등숙기 적온도 22℃ 내외를 벗어난 24.5℃로 높아졌다.

 

벼의 이앙 한계기를 예측하는 출수만한기(출수후 40일간 등숙 적산온도 800℃ 기준)는 과거 8월31일에서 최근 9월3일로 이동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도 농업기술원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달라진 기후환경에 대응해 지역별 적합한 벼 품종을 적정 시기에 재배하는 계획적인 영농법을 모색키로 했다.

 

도 농업기술원은 계획 영농을 위한 재배기간 설정 연구를 통해 안정적인 수확을 도모하고 가루쌀과 타 작물과의 이모작 가능성을 파악해 식량자급률 향상에 이바지할 계획이다.

 

연구를 위해 도 농업기술원은 안전 출수 한계기에 따라 도내 5개 지역을 선정해 올해부터 벼 이앙과 담수 직파를 3년간 진행하며 현재 5월10일, 30일, 6월20일 3차례에 걸쳐 시기별 벼 이앙과 직파를 마친 상태다.

 

도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 농가에 시기적절한 정보를 제공함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수 있는 영농법을 찾을 것이며 도내 지역별 최적 재배 시기를 설정해 쌀 품질을 향상하고 농가 소득도 증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goodtime.or.kr/news/view.php?idx=6422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후원 X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