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4-05-13 21:50:01
기사수정

[굿타임] = 이강부 기자 = 부여군은 지방소멸의 위기속에서 지난 한해동안 123사비공예마을이 생활인구 증가 등 많은 가시적 성과를 냈다. 

 

군은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코자 민관학이 함께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콜렉티브 임팩트를 형성하며 당초 계획했던 기금사업인 123사비공예마을 운영을 차질 없이 추진해왔다. 

 

콜렉티브 임팩트(Collective Impact)는 다양한 참여 주체가 모여 특정 사회문제를 해결키 위한 공동의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키 위해 동시다발적으로 조직화된 협력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지난해 4월 123사비 창작센터와 레지던스를 개관해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했으며 군은 공예마을에 뿌리 내린 12개 공방과 긴밀한 공조체계를 구축해 민간이 핵심 주체가 되는 사업추진을 지원하고 함께 노력했다. 

 

공예마을 12개 공방은 공예마을규암 협의회를 조직하고 공예마을 거점공간인 123사비아트큐브 등을 활용해 매월 공예마을 규암장터를 운영하며 주말마다 방문객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다채로운 공예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군은 협의회는 물론 마을상인회 규암상상 등 지역상인과 주민과 함께 공예를 테마로 다양한 행사를 기획 운영했으며 놀거리, 볼거리, 살거리, 즐길거리 등을 통해 공예마을 체류 지점을 확대해 방문객 유입에 성과를 거뒀다. 

 

2022년 대비 연간 유동인구가 24% 상승했으며 공예마을 공방과 지역 작가 등과 연계 행사 운영시에는 일 평균 유동인구가 82% 상승하는 성과를 보였다.

 

또 부여군에 위치한 한국전통문화대학교와 지역 공예 문화산업을 진흥시키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해 청년 공예인 양성, 공예마을 문화시설을 활용한 문화향유 프로그램 등 지방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상호연계 협력을 강화했다.

 

특히 창작센터와 레지던스 운영으로 청년공예가의 안정적인 정착기반을 마련해 전통대 졸업생 등 지역인재의 수도권 이탈을 방지하고 새로운 청년인재 유입을 통해 생활인구 증가를 도모했다. 

 

지역 대학을 졸업한 지역인재들이 지역에 정착하는 계기를 마련했으며 졸업후 타지역에 머물던 인재들이 부여에 돌아와 창작센터에 입주하고 있다. 

123사비 창작센터와 레지던스에 입주한 청년공예가들은 창작과 거주공간 지원과 함께 역량강화 교육, 컨설팅 등 인큐베이팅을 통해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온오프라인 공예품 샵이나 갤러리 입점을 통해 수익을 창출했다. 

 

안정적인 창작 여건으로 입주 청년공예가 2명이 국가무형문화재 이수자 자격을 취득하는 성과를 얻었다.

 

군은 123사비공예마을의 인프라를 활용한 창작문화 확산과 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해 지역의 정주여건 개선에 노력하고 있으며 이는 총인구가 증가치 않는 인구감소시대에 인구의 양적 성장을 전제로한 기존의 전략에서 한걸음 나가 인구변화에 적응하고 지역주민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둔 전략이다. 

 

지역주민은 물론 새롭게 유입된 다양한 청년과 귀촌 인구에게 문화적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서 문화, 창작 교육 참여 등 자기계발과 문화적 즐길거리를 제공해 정주여건 개선 효과를 톡톡히 얻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역주민들은 90점이 넘는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심화 교육과정을 수료하고 창업과 크라우드펀딩 등 일자리 창출로 연계됐다. 

 

군 관계자는 “과거 번성했던 규암마을은 사람들이 떠나고 빈집과 빈 상가만 남아있던 곳이었는데 민관학이 협력해 기금을 효율적으로 운영해 지방소멸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면서 마을에 활력이 생기고 점차 유의미한 성과가 나오고 있으며 123사비공예마을이 활성화돼 생활인구 증가 효과를 거둘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시책을 마련해 가겠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goodtime.or.kr/news/view.php?idx=6335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후원 X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