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3-07-13 22:40:01
기사수정

[굿타임] = 이강부 기자 = 부여군이 전국 유일 자립형 공동체 순환 지역화폐인 굿뜨래페이가 적기 정책추진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힘을 싣고 있다.


특히 행정안전부의 지침에 따라 연매출 30억원 이상 가맹점의 이용을 제한하면서 활성화를 유도해낸 것이어서 의미가 있다. 


부여군은 자체적으로 군비를 확보해 지난 6월까지 총10% 인센티브(충전인센티브 5%, 소비인센티브 5%)를 지급했으며 2022년 대비 녹록치 않은 경제 상황에서 굿뜨래페이 이용을 유도키 위해 노력했다.


그결과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상반기 평균이용액 354억원의 91%인 322억원이 굿뜨래페이 충전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나며 공동체 순환 지역화폐인 굿뜨래페이가 구조적인 지역소멸 위기에서 굳건하게 자리 잡았음을 입증했다.


다만 총10% 인센티브를 주면서 관내 소비심리가 지난해에 비해 크게 살아나지는 않았으며 나아가 행안부 지침에 따라 년30억원 초과 매출 가맹점에 대한 일반발행 이용을 제한하며 자칫 굿뜨래페이 이용률이 떨어질수 있다는 우려가 강했다.


굿뜨래페이 운영협의회에 참가하고 있는 전주대 이재민 교수는 “행동경제학 관점에서 바로 주어지는 보상에 경제심리가 더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이 여러 경제 심리에서 드러난다“고 말했다.


군은 충전인센티브 강화 정책을 펼쳤고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중이며 부여군은 소비자 심리를 고려해 충전인센티브를 강화한 정책을 2023년 7월부터 시행했다. 


즉 15%의 인센티브 지원정책으로 충전인센티브 10%와 소비인센티브 5%를 시행했으며 충전액을 보면 지난 6월의 하루평균 충전액은 1억7000만원이었으나 지난 10일 기준으로 하루평균 충전액이 129% 증가한 3억9000만원에 이르고 있다.


비교해서 소비의 경우는 지난 6월 한달간 하루평균 약4000건이고 지난 10일 기준 하루평균 약5200건으로 30% 증가했으며 충전 금액이 사용 비율에 비해 6배 정도 증가한 것으로 드러나 충전인센티브 지원상향 정책이 굿뜨래페이의 구조적인 활성화로 드러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정현 군수는 “부여군의 굿뜨래페이가 관내 경기 활성화를 유도할수 있는 데는 지역화폐 플랫폼을 부여군이 자체 개발해 경기 상황에 맞춰 전략적으로 유연케 대응할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른 지자체와 달리 부여군의회에서 굿뜨래페이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2023년 군비 53억8000만원을 합의해주신 덕분이며 앞으로 투자유치 등 다른 사업과 함께 굿뜨래페이를 통해 관내 경기 활성화를 견인해 가겠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goodtime.or.kr/news/view.php?idx=5765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후원 X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