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 손자병법 제14계 차시환혼(借尸还魂) 죽은 혼이 다른 시체를 빌려 부활한다. 손자병법 제14계 차시환혼(借尸还魂) 죽은 혼이 다른 시체를 빌려 부활한다. 차시환혼은 제14계로 원래 뜻은 다른 형식을 빌어 죽은자를 부활시킨다는 것이다. 방연은 가짜 공자 교사로 죽은 공자 교사를 대신하게 하여 제의 반란 세력을 부활 시켰다. 동한(東漢) 말년 유비(劉備)는 손권(孫權)의 오(吳)나라와 연합해 적벽대... 2018-02-10 편집국
- 제13계 타초경사(打草驚蛇) 풀을 헤쳐 뱀을 놀라게 한다. 공전계(攻戰計) 자신을 알고 적을 안 다음 계책을 모의하여 적을 공격하는 전략이다. 제13계 타초경사(打草驚蛇) 풀을 헤쳐 뱀을 놀라게 한다. 제14계 차시환혼(借尸還魂) 죽은 영혼이 다른 시체를 빌려 부활하다. 제15계 조호리산(調虎離山) 호랑이를 산 속에서 유인해 낸다. 제16계 욕금고종(欲擒故縱) 큰 것을 얻기 위해 작은 것을... 2018-02-10 편집국
- 손자병법 제12계 순수견양(顺手牵羊) 기회를 틈타 양을 슬쩍 끌고 간다. 손자병법 제12계 순수견양(顺手牵羊) 기회를 틈타 양을 슬쩍 끌고 간다. 순수견양은 36계 중 제12계로 적의 작은 허점을 발견하면 큰 이익을 위협하지 않는 한 즉각 이용하여 작은 이익이라도 놓치지 않는다는 뜻이다. 손빈은 적과 대치하여 승리를 거둘 수 없자 수도가 빈 허점을 발견하고 수도를 공격한다. BC 770년 정(鄭)나... 2018-02-10 편집국
- 손자병법 제11계 이대도강(李代桃僵) 복숭아대신 자두. 손자병법 제11계 이대도강(李代桃僵) 복숭아대신 자두. 이대도강은 제11계로 계책의 이름은 후대인이 지었다. 이는 장기의 차를 버리고 장군을 지키는 것과 같아 일부를 버리고 전체 승리를 하는 것을 뜻한다. 손빈은 이 계책으로 전기를 승리로 이끌고 제왕의 신임을 얻는다. 전국시대 제(齊)나라 대장 전기(田忌)는 내기... 2018-02-10 편집국
- 손자병법 제10계 소리장도(笑裏藏刀) 웃음 속에 칼을 품다. 손자병법 제10계 소리장도(笑裏藏刀) 웃음 속에 칼을 품다. 소리장도는 제 10계로 살기를 감추고 겉으로 미소를 띄는 것을 말한다. 방연은 손자의 병법을 얻기 위해 손빈을 모함하여 위기에 삐트린다. 당(唐)나라 태종(太宗) 때 이의부(李義府)는 아부하는 재주가 뛰어나 황제의 깊은 환심을 산 덕분에 벼슬이 계속 높아져 처... 2018-02-10 편집국
- 손자병법 제9계 격안관화(隔岸观火) 강 건너 불 구경하다. 손자병법 제9계 격안관화(隔岸观火) 강 건너 불 구경하다. 강건너 불구경한다는 제9계로 앉아서 강 건너 불구경한다는 뜻으로 적 내부의 갈등을 지켜보며 어부지리를 얻는다는 뜻이다. 손빈은 한이 위를 맞아 전력을 다해 싸우게 하고 방연의 군력을 약화시켜 전세를 제에 이롭게 한다. 전한(前漢) 말기의 혼란 속에서 정치... 2018-02-10 편집국
- 손자병법 제8계 암도진창(暗渡陳倉) 기습과 정면공격을 구사하다. 손자병법 제8계 암도진창(暗渡陳倉) 기습과 정면공격을 구사하다. 암도진창은 제8계로 한 대의 한신이 길을 닦는 척 하면서 다른 곳을 공격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했다. 정면에서 적을 견제하고 우회로 돌아 기습공격을 한다는 뜻으로 이 계책은 성동격서와 비슷하지만 달라 성동격서에서 중요한 곳이 공격 지점이라면 암도진창... 2018-02-10 편집국
- 제7계 무중생유(無中生有) 지혜로운 자는 무에서 유를 창조한다. 적전계(敵戰計) 아군과 적군의 세력이 비슷할 때 기묘한 계략으로 적군을 미혹시켜 승리를 이끄는 작전이다. 제7계 무중생유(無中生有) 지혜로운 자는 무에서 유를 창조한다. 제8계 암도진창(暗渡陳倉) 기습과 정면공격을 함께 구사한다. 제9계 견안관화(隔岸觀火) 적의 위기는 강 건너 불 보듯 한다. 제10계 소리장도(笑裏藏刀) 웃... 2018-02-10 편집국
- 손자병법 제6계 성동격서(声东击西) 동쪽에서 소리 지르고 서쪽에서 공격한다. 손자병법 제6계 성동격서(声东击西) 동쪽에서 소리 지르고 서쪽에서 공격한다. 성동격서는 제 6계로 이 계략은 거짓 행동으로 적을 헷갈리게 해 아군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게 하고 이로 인해 경비가 허술한 틈을 이용해 진격하여 승기를 잡는다는 뜻이다. 손빈은 중모를 공격하는 척 하여 방연을 성고에서 유인해 낸 후 성고를 ... 2018-02-10 편집국
- 손자병법 제5계 진화타겁(趁火打劫) 상대의 위기를 틈타 공격한다. 손자병법 제5계 진화타겁(趁火打劫) 상대의 위기를 틈타 공격한다. 진화타겁은 제 5계로 적이 위기에 처했을 때 공격을 가한다는 뜻으로 손빈이 초에 붙잡힌 것을 기회로 방연은 손자병법을 얻고자 한다. 춘추(春秋) 말기 오(吳)나라와 월(越)나라는 서로 이웃하고 있으면서도 원수처럼 싸우는 사이였다. 오나라의 왕 합려(闔... 2018-02-10 편집국